백련암(白蓮庵)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624 사명암에서 남쪽 숲 속으로 약 500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암자로 주위에는 나무가 울창하게 우거져 있다. 창건은 1374년(공민왕 23) 월화대사(月華大師)에 의해 이룩되었고, 1634년(인조 12) 현암대사(懸岩大師)가 중건하였다. 법당의 현판은 백련사(白蓮舍)라고 하였.. 국내여행 2011.04.04
신라 태종무열왕릉비(新羅 太宗武烈王陵碑) 국보 : 제 25호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844-1 이 비석은 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재위 654~661)의 위대한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 이 비는 무열왕릉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 빗돌(碑身)은 없어지고 거북모양의 받침돌(龜趺)과 용을 새긴 머릿돌만 남았다. 길이 333cm, 너비 254cm, .. 우리 문화재 2011.01.22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蔚山大谷里盤龜臺岩刻畵) 국보 제 285호 소재지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991 울산 태화강 지류인 대곡천변의 절벽에 290여점의 암각화가 새겨져 있다. 반구대 암각화에 새겨진 그림은 바다와 육지동물, 사냥과 포경장면등 동물의 생태적인 특징과 당시의 생활상을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바다동물은 고래,거.. 우리 문화재 2010.11.19
다솔사(多率寺) 소재지 : 경상남도 사천시(泗川시) 곤명면(昆明面) 용산리(龍山里)86번지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인 범어사의 말사이다. 511년(지증왕 12)에 조사(祖師) 연기(緣起)가 영악사(靈嶽寺)라 하여 처음 세웠고, 636년(선덕여왕 5) 새로 건물 2동을 지은 뒤 다솔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676년(문무왕 16) 대사 의.. 국내여행 2009.10.05
함평 용천사 석등(咸平 龍泉寺 石燈)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 84호 소재지 : 전라남도 함평군 해보면 광암리 415 이 석등은 강희(康熙)24년에 세운 것이란 글씨가 새겨 있어 조선 숙종 11년(1685)에 만들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석등의 높이는 2.38m 인데 8각의 간주석 위에 4각의 화사석(火舍石)을 얹었고 그 위에 4각의 옥개석이 있다. 화사석의 .. 우리 문화재 2009.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