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 108

영천거조사영산전

영산전은 거조사의 본전 ( 本殿 ) 이다. 해체 보수할 때 발견된 기록에 따르면, 고려 우왕 원년 ( 1375 ) 에 세워졌으며, 이후 여러 차례 고쳐 지었다고 한다. 기둥머리 바로 위에 공포 ( 栱包 )* 를 짜 넣은 주심포계 양식으로, 소박하고 간결한 것이 특징이며 정면 7 칸, 측면 3 칸, 5 량 구조의 맞배집 ** 이다. 기둥이나 들보 등은 옛 양식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형태와 구성에서 백제계 고려 건축의 흔적을 엿볼 수 있고, 일반적인 조각 수법이 적용 된 것으로 보아 조선 초기에 고쳐 지으면서 많은 부분이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 안에는 저마다 다른 표정을 띤 석조 나한상 526 분이 모셔져 있다.

국내여행 2023.12.05

대구 동화사(大邱 桐華寺) 2023.10.08(일)

⊙대구 동화사 대웅전(大邱 桐華寺 大雄殿) 동화사는 신라시대 때 창건된 이후 오늘날까지 8 번 중창 되었다. 대웅전도 여러 차례 다시 지었는데, 지금의 대웅 전은 1727 년 ( 영조 3 ) 에서 1732 년 ( 영조 8 ) 사이에 건립된 것 으로 추정된다. 절의 가장 중심적 위치에 자리 잡고 있는 대웅전은 기둥과 기둥 사이에 지붕을 받치는 여러 개의 포가 놓인 다포식 건축이다. 내부 물단 위에는 삼세불상 ( 三世佛 像 ) 인 석가모니여래, 아미타여래, 약사여래를 봉안하였다. 그리고 그 위로는 닫집이 화격하게 꾸며져 있다. 특히 주목 할 수 있는 것은 대웅전 정면의 문짝에 새걱진 꽃살문으로 이는 부처님께 꽃을 공앙한다는 불교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가공하지 않은 아름드리나무를 기둥으로 사용 하여 시..

국내여행 2023.10.09

#포항고석사(浦項 古石寺)

고석사(古石寺)의 창건설화에 의하면 신라 선덕여왕 7년인 638년 어느날 동쪽에서 홀연히 세 줄기 서광이 일어나 그 빛이 3일이나 서라벌 왕궁을 비추었다. 이를 기이하게 여긴 선덕여왕이 혜능스님께 여쭈니 혜능스님이 그 출처를 찾아 나섰다. 그런데 그 빛은 바로 이 산기슭의 바위에서 나와 신라를 비추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선덕여왕은 그 바위에 미륵부처님을 새기고 사찰을 지어 모시게 하였다.

국내여행 2023.10.03

청도 신둔사(淸道 新芚寺)

2023.10.02(월) #청도(淸道) #남산(南山) #신둔사(新芚寺) #영산보탑및탑비(靈山寶塔및塔碑) 남산 중턱에 자리잡은 신둔사는 신라 애장왕(哀莊王)때에 보조국사(寶照國師)가 창건하여 봉림사(鳳林寺)라 하였는데 조선 현종 8년(1667년) 상견대사가 중창하고 조선 고종15년(1878년)에 다시 중수하여 신둔사(薪芚寺)라 개칭하였다. 석가모니부처님을 모신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 면적 7.6평 맞배지붕으로 조선시대에 중건하였다고 전해오고 있으며, 큰 법회시 사용되는 청풍루(淸風樓)는 1998년 신축하였다. 절에서 대중을 모으기 위해서나 때를 알리고 욕계(欲界)의 6천과 색계18천과 무색계의 4천을 합하여 28천의 모든 하늘나라 대중이 들으라는 뜻으로 울리는 이곳 범종 소리는 이서고국(伊西古國)때..

국내여행 2023.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