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사 대광전(新興寺 大光殿) 보물 : 제 1120호 소재지 :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영포리 268 신흥사의 중심 법당으로 자비의 빛을 온누리에 비추는 부처를 모시고 있어 대광전(大光殿)이라 한다. 대광전은 조선시대의 목조기와집으로 건축 기법, 내부의 단청장식과 벽화 등이 뛰어나, 1992년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현재의 건물은 1988년.. 우리 문화재 2011.03.28
중생사(衆生寺)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배반동 산 17-1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인 불국사의 말사이다. 679년(신라 문무왕 19)에 창건되었다. 《삼국유사》에 이 절에 얽힌 설화가 전해진다. 중국 오(吳)나라의 한 화공(畵工)이 이 절에 관세음보살상을 만들어 놓았는데, 신라 말에 최은함이 이 보살상에 기도를 .. 국내여행 2011.02.07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慶州 祇林寺 塑造毘盧遮那三佛坐像) 보물 : 제958호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 기림사 대적광전에 봉안되어 있는 소조비로자나 삼존불상으로 삼신불이다. 중아에는 비로자나불, 좌우에는 각각 노사나불(盧舍那佛)과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이 배치된 형식이다. 특히 복장유물까지 나온 비로자나 불상은 머리가 큼직한 육.. 우리 문화재 2010.12.25
상주 남장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尙州 南長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보물 : 제990호 소재지 :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502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사 보광전에 모셔진 철조비로자나불좌상으로 지금은 불신만 남아있다. 얼굴은 단아하며 어깨에 닿을 듯 긴 귀는 목에 3줄로 새겨진 삼도(三道)와 잘 조화를 이루어 위엄을 자아낸다.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은 부드럽게 흘러내.. 우리 문화재 2010.11.22
중대 사자암(中臺 獅子庵) 적멸보궁의 수호 암자인 중대 사자암은 비로자나불을 주불主佛로 하여 일만의 문수보살이 상주하는 곳으로 상원사에서 적멸보궁 가는 길을 이십 여분 올라가다보면 만나게 된다. 조선 태종 1400년 11월 중창되었으며 이후 왕실의 내원당內願堂으로 명종 대에 승영僧營사찰로 보호되기 시작하였고 1644.. 국내여행 2010.11.13
공작산 수타사( 孔雀山 壽陀寺) 소재지 : 강원도 홍천군 동면 덕치리9 이 사찰은 708(성덕왕 7)우적산(牛跡山)아래에 일월사(日月寺)로 처음 지어진 것을 1569(선조2) 현재의 위치인 공작산(孔雀山)으로 옮기고 이름을 바꾸었다. 그러나 임진왜란으로 인해 절이 완전히 불타 버리고 40여년간 폐허로 남아 있었는데, 1636(인조14)공잠(工岑)대.. 국내여행 2010.01.27
수도사노사나불괘불탱(修道寺盧舍那佛掛佛幀) 보물 : 제1271호 소재지 :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치산리 311 이 괘불탱의 제작연대는 조선 숙종(肅宗)30년(1704)이며 재질은 마본채색이고 그림의 크기가 길이는 8.36m, 폭은 4.32m이다. 둥근 원안에 석가모니(釋迦牟尼)의 동일신인 노사나불(盧舍那佛)이 화려한 독존 형식으로 그려져 있다. 보관 주위로는 .. 우리 문화재 2010.01.06
통도사 대광명전(通度寺 大光明殿)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94호 소재지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대광명전은 통도사의 세 개 영역 가운데 중위 영역(中爐殿)의 중심 불전으로,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을 봉안하는 곳이다. 비로자나불은 "널리 밝은 빛을 두루 비춘다". (光明遍照)는 뜻으로, 곧 사람의 눈으로는 볼 수 없는 빛의 부.. 우리 문화재 2009.11.27
보현정사(普賢精舍) 소재지 :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각서1리 ☎ : 054-572-0158 오온개공(五蘊皆空) 물리학자들이 자연현상에서 이중성을 발견하기 전까지는 사람이 분별지로 반야심경을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오직 반야지를 터득한 사람들만이 직관으로 그 무엇을 꿰뚫어 보고 반야심경이 말하는 공(空)을 이해.. 국내여행 2009.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