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30

⊙영천 신월리 삼층석탑

영천 신월리 삼층석탑(永川 新月里 三層石塔) 보물 제 465 호 이 석탑은 9 세기 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 높이가 4. 75 m 이다. 신라 진평왕 제조때 신흥사가 위치했던 곳이라는 전설에 따라 근년에 신흥사라는 절이 새로 건립되었다. 이중 -" 기단 위에 3 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쌓아 올린 것으로, 전형적인 신라석탑 양식을 따르고 있다. 윗 기단부의 면석에는 팔부중상( 八部衆像) 이 돋을 새김 되어 있고,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한돌로 조성되었다. 지붕돌 밑면 받침은 4 단이고 추녀 밑은 수평을 이루고 있다. 또한 보통 석탑의 몸돌인 경우 문짝모양 「 11 # 과 자물쇠를 조각하는 경우는 볼 수 있지만 이 탑처럼 면마다 이런 무늬를 새기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비록 기단과 탑 신부의 여러 곳에 손..

우리 문화재 2024.01.11

영천향교 대성전

⊙영천향교 대성전 (永川鄉校 大成殿 ) 영천향교 대성전은 조선 세종 17 년 1435 에 지어졌고, 중종 8 년 1513 무렵, 광해군 14 년 1622 무렵을 비롯해 여러 차례 보수하면서 오늘날의 모습을 갖췄다. 이 건물 에는 공자를 비롯한 성현 25 분의 위패를 모셨으며, 봄과 가을에 제향을 올린다. 건물의 규모는 정면 5 칸, 옆면 3 칸이고, 단층 맞배집 * 이다. 전퇴 前退 ** 를 두지않고, 정면 평주칸 *** 에 바로 문과 창을 내었다. 기둥을 높게 만들어 건물을 훤칠하게 지었으며, 건물 윗부분의 구조가 간결하여 내부의 구성이 경쾌하다. * 맞배집 : 건물 앞뒤에서만 지붕면이 보이고 양측면의 벽 상부가 삼각형으로 된 집. ** 전퇴 : 건물의 전면에 붙인 퇴칸 *** 평주칸 : 평기둥으로 이..

우리 문화재 2024.01.11

⊙영천 숭렬당

⊙영천 숭렬당( 永川 崇烈堂) 보물 제 521 호 이 숭렬당은 조선조 (朝鮮朝) 세종 (世宗) 15 년 1433 에 건립된 중국식 (中國式) 건물로서 그 구조와 형태가 아름답고 특이하다. 이 건물은 세종 원년 (元年) 1419 쓰시마 (對馬島 )정벌과 야인 (野人) 토벌등에 혁혁한 공적을 남겨 일명 복장군 이라 불리었던 명장 (名將) 위양공( 威离公) 이순몽 (李順蒙)장군이 평소 기거 했던 집이다. 현재는 장군의 위패때를 받들고 봄 가을로 제사를 드리고 있다.

우리 문화재 2024.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