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ㅅгㄹ♪
2009. 8. 12. 17:49










⊙연꽃의 상징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여러해살이수초.
연꽃, 만다라화, 부용(芙蓉)이라고도 한다.
꽃말 : 꽃-순결,군자 연밥 -다산,부귀
연은 더러운 물 속에서 자라나 깨끗한 꽃을 피운다 하여 예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특히 불교에선 속세의 더러움 속에서도 물들지 않고
깨끗한 꽃을 피운다는 청정함의 상징으로 극락세계를
이 꽃에 비유하였다. 또한 유교사상의 선비들에겐
군자상이라하여 가까이 하였다.
즉 극락세계를 <연방>이라고 하였으며, 아미타불의
정토에 왕생하는 사람의 모습을 <연태>라 하였다.
또한 연에 종자가 많은 것을 보고 민간에서는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 여성의 옷에 연꽃무늬를 새겨
자손을 많이 낳기를 기원하였다.
⊙ 연꽃의 환경
연꽃 생육에는 토심이 깊고, 진흙 토질을 좋아하며
기온은 15℃이상 6개월 정도가 유지되는 지역에 가능
개화시기는 7월초순~8월 하순경이다.
연근은 식용으로 이용하고, 연잎,줄기,종자,연방은
연차.꽃꽂이.한약재료로 사용된다.
⊙연의 약리적 효과
연의 거의 모든 부분이 약용된다.
한방에서는 연뿌리의 마디를 우절, 잎을 하엽, 입자루를 하경,
꽃의 수술을 연수, 열매 및 종자를 연실, 꽃턱을 연방이라 하여 생약으로 쓴다.
잎.수술.열매.종자에는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어 다른 생약과 배합하여
각혈.토혈 등의 치료제로 쓴다.
연실은 자양강장제로 다른 생약과 배합하여 만성설사. 심장병 등에 쓴다.
또한 연뿌리는 식품으로도 쓰이며, 녹말이 많은 종자도 식용된다.